인권옹호자에 관한 특별대표에 두 인권활동가에 대한 긴급조치 서한 제출
1. 안녕하십니까.
2.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회장:이석태)은 2006년 3월 28일, 유엔사무총장이 임명한 ‘인권옹호자에 관한 특별대표(Ms. Hina Jilani)’에게 현재 평택구치소에 있는 두명의 인권활동가 박래군(인권운동사랑방), 조백기(천주교인권위원회)에 대해 긴급 개입을 요구하는 내용의 서면을 제출하였습니다. (인권위원회는 2000년 4월 26일, 결의안 2000/61을 통하여 유엔사무총장에게 인권운동가에 관한 특별대표를 임명하도록 요청하였고, 동년 8월 초대 특별대표로 히나 질라니(Ms. Hina Jilani)가 임명됨.)
3. 서면의 주 내용은 사건의 경위, 체포후 구속, 구속적부심사가 3월 29일(수)임을 알리고 긴급한 개입을 요구하는 내용과 더불어 평택에 들어설 미군기지확장에 대해 거주민들이 강제퇴거의 위기에 처해있으며, 시위자에 대한 진압과정에서 이제까지 발생한 경찰에 의한 피해사례도 고발하였습니다.
4. 인권위원회 결의안 2000/61 3항에 규정되어 있는 특별대표의 수임사항은 1) 개인적으로 또는 다른 사람과 공동으로, 인권 및 인권실태에 관한 정보를 조사, 수집, 검토, 대응하여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증진, 보호하며, 2) 인권운동가 선언문을 알리고 효과적으로 이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정부 및 기타 관계자와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대화를 진행하며 3) 인권운동가에 대한 보호를 증진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전략을 건의하고, 그 건의 내용에 따른 후속조치를 단행합니다.
5. 민변이 제출한 서면을 받은 특별대표는 우선 해당 정보가 자신의 수임사항과 관련된 것인지 판단하며, 둘째, 인권침해라는 주장이 맞는지, 제보자가 신뢰할 만한 사람인지 판단하는 데 최선을 다하며, 셋째, 문제의 인권침해가 발생한 국가 정부와 접촉합니다. 해당국 정부에 모든 적절한 조치를 위하여 사건을 조사, 해결하고 그 결과를 알려줄 것을 요청하게 됩니다.
6. 기타 제출된 서면의 세부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06. 3. 29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이석태(직인생략)
———————————————————————-
(영문)
28 March 2006
Ms. Hina Jilani
Special Representative of the Secretary General for human rights defenders
Attn: Melinda Ching Simon
Room 1-040, c/o OHCHR-UNOG
1211 Geneva 10
SWITZERLAND
Tel: +41 22 917 93 88
Fax: +41 22 917 9006
Page: 4
Dear Ms. Jilani,
SOUTH KOREA: Two human rights defenders facing charges after being arrested during peaceful demonstration against a forced eviction in Daechu-ri village by the Ministry of Defense
MINBYUN-Lawyers for a Democratic Society (MINBYUN), which consists of 530 lawyers and is a NGO with special consultative status with ECOSOC, wishes to bring to your notice the arrest of two human rights defenders, namely PARK Rae-goon and CHO Baek-gi on 15 March 2005. Both men were arrested on the accusation of ‘interference with government officials in execution of their duties’ during their peaceful demonstration with local villagers against a forced eviction in Daechu-ri village. They are both currently arbitrarily detained in Pyeongtaek Detention Centre, Pyeongtaek-si, Gyeonggi-do, Korea. (PARK Rae-goon:No. 201, CHO Baek-gi:No.202)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ase is as follows:
Names of victims:
1) PARK Rae-goon, born in 1961, married with two children, human rights activist of Sarangbang Group for Human Rights
2) CHO Baek-gi, born in 1972, unmarried, human rights activist of Korean Catholic Human Rights Committee
Addresses of the victims are withheld
Alleged perpetrators: Group of police and hired private security persons
Place of incident: Daechu-ri Village, Paengseong County, Pyeongtaek City, Gyeonggi Province, Korea
Date of incident: 15 March 2006
Case details:
On 15 March 2006, a peaceful demonstration organized by several human rights activists and local villagers was held calling to condemn the forced eviction of villagers for the expansion of the U.S. military base to Daechu-ri village in Pyeontaek city,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However, the police violently cracked down those peaceful demonstrators and arrested 39 persons who were taken to the Pyeongtaek Police Station.
During the crack down, some villagers and two activists were beaten and injured by police and hired private security persons. On March 17, the arrestees were released except two human rights activists mentioned above. On March 18, the Suwon District Court issued a warrant of arrest against the two men and they were subsequently transferred to Pyeongtaek Detention Centre, where they still remain in detention. The court has accused Mr. Park and Mr. Cho of so-called “Interference with government officials in execution of their duties.” The review of the legality of their arrest and confinement is scheduled on Wednesday (March 29).
Background Information:
The U.S. and Korean governments agreed to add another 1,154 hectares to the existing 1,513 hectares of U.S. Military Base in Pyeongtaek in the name of ‘strategic flexibility’. Nonetheless, it should be noted that U.S. military base in Pyeongtaek would rather bring a negative impact on peace in Korean Peninsula as it is considered as a possible military threat and the application of a policy of containment toward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this context, the people in Pyeongtaeak, and many human rights and peace activists have organized daily candlelight gatherings for 500 days and raised their voices against the expansion of the U.S. Military Base. The expansion of the U.S. Military Base will also deprive the people in Pyeongtaeak of their existence in their beloved home village. Furthermore, the villagers, who have refused to move, will face eviction soon by the police due to pressure from the Ministry of Defense. The pressure has gone up even further when the Central Land Tribunal under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concurred to follow such decision of the Ministry of Defense.
On 26 August 2005, a vehicle of the Ministry of Defense came to Daechu-ri village and announced, “the presentation for the residents in respect to negotiating purchases will start at 10:30am in the elementary school”. This caused a confrontation between the police and the villagers transpired. While the police tried to break into the school, they pushed HWANG Pill-soon, an old woman, aged 70, fell down on the ground and her finger was broken. KIM Yang-boon, another old woman aged 65, was suffocated and transferred to the hospital. LEE Soo-geol, aged 67, who is Ms. Kim’s husband, was also arrested along with four human rights activists and taken to the police van where they were kicked by the police with their boots. As a result, the presentation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Defense was opened only for 20 minutes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he villagers.
On 15 November 2005, some 100 peaceful demonstrators walked toward to the U.S. Embassy in Seoul in order to deliver a written protest. However, the police prevented them to approach the embassy and violently suppressed the protesters. HAN Dae-soo, aged 67, was attacked by the police with a police shield, which resulted in the rupture of his shoulder ligament. Due to the injuries, he had to be hospitalized for two months.
On 6 March 2006, the Ministry of Defense tried to forcibly occupy Daechu-ri elementary school in Pyeongtaeak in order to use the buildings as a liaison office for the expansion project. Many human rights activists then held a press conference in the school, followed by a peaceful demonstration, which was officially and legally permitted by local authorities. The elementary school has been the center for the residents’ solidarity activities since 2004. As the activists organized constant demonstrations against the expansion project, the Ministry’s plan to occupy the building has failed.
On 15 March 2006, 4,000 policemen and hired private security persons came into the village again. The villagers and activists protested against the attack of the police in a peaceful manner. However, several villagers were injured by the police and three of them were sent to a hospital. KIM Yeon-ja, aged 65, cannot move her body due to injuries on her waist. LEE Eun-beom, aged 72, fainted after she was thrown into a rice field by the police and her head was crushed against the ground. Ms. Lee is receiving medical treatment after being hospitalized. KIM Wol-joo, aged 60, was also attacked by the police and her left wrist bone was cracked. YOO, Seung-aae, aged 64, was also attacked and her right knee ligament was ruptured. She is currently hospitalized. KIM Tae-im, aged 53, was pushed hard by female police officers and she got injured in her abdomen, however, she could not be hospitalized because she could not afford the medical expenses.
As illustrated the above, the use of brutality by the Korean police has not reduced. This is despite the deaths of two farmers who succumbed to injuries, which were sustained by the police during a rally in Seoul on 15 November 2005.
Violation of the rights:
Human rights activists, including the two detained, have supported the residents in Pyeongtaek, who do not want to leave their hometown. They protested that the residents should not to be forcibly evicted from their homes. The brutal crackdown of the police on the peaceful demonstration is also in violation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as well as the rights to assembly and demonstration of the villagers.
MINBYUN-Lawyers for a Democratic Society has provided legal assistance to the two human rights activists arrested and found it is unjust that they are being detained even though there is no possibility of their fleeing and/or the destruction of evidence which are provided as reasons for detention under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Therefore, MINBYUN requests you to urge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release the two human rights activists concerned. MINBYUN also requests you to urge the Government to take strong action to stop police brutality on protesters.
We look for your urgent intervention into this matter.
Yours sincerely,
(signed)
Suk-Tae Lee
President
MINBYUN-Lawyers for a Democratic Society
———————————————————————-
(한글)
한국: 국방부의 대추리 마을 강제퇴거에 반대하는 평화시위도중 체포된 두 명의 인권옹호자 기소에 직면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에 특별협의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530명의 법률가로 구성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이하 민변)은 2006년 3월 15일 체포된 박래군과 조백기 두 명의 인권활동가의 체포에 대해 인권옹호자에 관한 특별대표의 주의를 환기하고자 합니다. 두 활동가는 대추리 마을에서 지역주민들의 강제퇴거에 반대한 평화시위도중 ‘공무집행방해’혐의로 체포되었습니다. 현재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평택구치소(박래군 수번: 201, 조백기 수번: 202)에 임의로 구류되어 있습니다.
이 사건에 대한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피해자 이름:
1) 박래군, 61년생, 기혼, 2명의 자녀, 인권운동사랑방의 활동가
2) 조백기, 72년생, 미혼, 한국 천주교인권위원회 활동가
피해자 주소:
1) (비공개)
2) (비공개)
가해 혐의자: 경찰과 고용된 사설경비용역업체 직원
사건장소: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대추리
사건일시: 2006년 3월 15일
사건 내용:
2006년 3월 15일, 경기도 평택시 대추리 마을에 미군기지 확장으로 주민들의 강제퇴거를 비난하며 여러 인권활동가와 지역주민들이 조직한 평화시위가 열렸다. 그러나, 경찰은 이 평화시위자들을 폭력적으로 진압하였고 39명이 평택경찰서로 이송되었다.
진압과정에서 수 명의 주민들과 두명의 활동가가 경찰과 고용된 사설경비용역업체 직원들에 의해 부상당했다. 3월 17일, 위에 언급한 두 활동가를 제외한 체포된 인원들은 풀려났으나 3월 18일, 수원지법은 위 두 활동가에 대해 구속영장을 발부하였고, 현재 구류되어 있는 평택구치소로 이송되었다. 법원은 이들을 소위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기소하였으며 구속적부심은 수요일(3월 29일)에 예정되어 있다.
배경설명:
미국과 한국정부는 ‘전략적 유연성’이라는 이름하에 현존하는 1,513 헥타의 미군기지외에 또 다른 1,154헥타의 미군기지를 평택에 확장하는데 협정을 맺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택의 미군기지 확장은 오히려 한반도의 평화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올 것이며, 중국과 북한을 향한 봉쇄정책 용도와 잠재적인 군사위협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택 주민들과 많은 인권 및 평화 활동가들은 500여일 동안 촛불집회를 진행하여 왔고, 미군기지확장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어왔다. 미군기지확장은 또한 평택 주민들에게 그들이 사랑하는 고향을 빼앗아 갈 것이다. 더구나, 이주를 거부한 주민들은 국방부의 압력을 받은 경찰에 의해 곧 강제퇴거될 위기에 직면해 있다. 건설교통부산하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서 국방부에 일치하는 결정을 한 후 이러한 압력은 증가되고 있다.
2005년 3월 26일, 국방부 소속의 한 차량이 대추리 마을로 들어와 ‘대추분교에서 오전 10:30분에 토지수용협상 설명회가 개최될 것’임을 알렸다. 이는 곧 경찰과 마을 주민들이 대치하는 상황을 만들었다. 경찰이 초등학교로 난입을 시도하는 동안, 70세의 황필순 할머니를 밀려 넘어지면서 손가락이 부러지는 부상을 당했고, 65세의 김양분 할머니는 호흡곤란으로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김양분 할머니의 남편인 67세의 이수걸 할아버지 또한 네명의 인권활동가들과 체포되었고 경찰차로 옮겨졌으며, 여기에서 경찰이 발로 이들을 가격하였다. 결국, 국방부의 설명회는 주민의 참여없이 단지 20여분간 진행되었다.
2005년 11월 15일, 100여명의 평화시위자들이 항의 서한을 전달하기 위해 서울에 있는 미대사관으로 향했으나, 경찰은 이들의 미대사관으로의 접근을 막았으며 폭력적으로 시위대들을 진압하였다. 67세의 한대수 할아버지는 경찰이 휘두른 방패에 어깨를 맞아 인대가 파열되었으며, 두 달동안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2006년 3월 6일, 국방부는 미군기지확장 계획을 위한 연락사무실로 대추분교를 사용하기 위해 점유를 시도하였다. 많은 인권활동가들은 곧 학교에서 기자회견을 열었고 공식적으로 그리고 법적으로 허용된 평화시위를 진행하였다. 초등학교는 2004년 이래로 거주자들의 연대활동에 중심이 되어 왔다. 미군기지확장 계획에 반대하여 활동가들이 지속적으로 시위를 조직해 오면서, 학교점령을 위한 국방부의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
2006년 3월 15일, 4,000여명의 경찰들과 고용된 사설경비용역업체 직원들이 마을로 다시 진입하였다. 주민들과 활동가들은 이러한 경찰의 공격에 대해 평화적 수단으로 항의했으나, 수 명의 주민들이 부상을 당했고 그 중 세명은 병원으로 옮겨졌다. 65세인 김연자 할머니는 허리부상으로 인하여 몸을 움직을 수 없게 되었고 72세의 이은범 할머니는 경찰에 들려 밭으로 던져져 머리가 바닥에 부딪힌 후 기절하게 되었으며 현재 입원 치료중이다. 60세인 김월주 할머니는 왼쪽 손목뼈가 부러지는 부상을 당했으며, 64세인 유승애 할머니 또한 오른쪽 무릎 인대가 파열되는 손상을 입었다. 53세인 김태임 할머니는 여성 경찰들이 세게 밀쳐 복부에 부상을 입었으나 병원비를 감당할 수 없어서 병원치료를 받지 못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한국 경찰의 잔인성은 2005년 11월 15일 서울에서 시위도중 경찰에 의해 의식불명후 사망한 두 명의 농민사건 이후에도 감소되지 않았다.
권리 침해:
구류된 두 명을 포함한 인권활동가들은 자신들의 고향을 떠나는 것을 원하지 않는 평택 주민들을 지지해 왔고 강제로 퇴거에 반대하며 항의했다. 평화시위에 대한 경찰의 폭력진압은 또한 주민들의 집회의 자유와 시위의 자유뿐 아니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위반이기도 하다.
민변은 체포된 두 명의 인권 활동가들에게 법률지원을 하고 있으며, 한국 형사소송법상 구속 사유 중 도주나 증거인멸의 우려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두 인권활동가가 구속된 것은 부당한 조치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민변은 특별대표가 두 인권활동가의 석방 및 시위자들에 대한 폭력진압 금지의 강력한 조치를 대한민국 정부에게 촉구해 줄 것을 요청하는 바이다.
우리는 이 사안에 대한 인권옹호자에 관한 특별대표의 긴급한 개입을 기대한다.
(서명)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이석태
첨부파일 |
---|